뮤비만 보고 감독 누군지 맞혀볼래? 커버이미지
music

뮤비만 보고 감독 누군지 맞혀볼래?

영화감독이 연출한 뮤직비디오 5편

URL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공유해보세요!

음악을 귀로만 듣는 예술이라고 말하는 시절은 이미 오래전에 끝났다. 현시대에 음악은 화면과 함께 완성된다. 뮤직비디오는 이제 단순히 음악을 홍보하기 위한 영상이 아니라 아티스트의 정체성과 세계관을 가장 압축적이고 아름답게 담아낼 수 있는 예술 장르다.

일부 아티스트들은 자신만의 언어를 가진 영화감독들과 손을 잡고, 자신의 예술 세계를 완성하는 하나의 매체로 뮤직비디오를 활용했다. 음악과 영화, 서로의 감각을 빌려 완성된 예술작품 같은 5편의 뮤직비디오를 소개한다.


➊ The Killers – Bones

2004년 데뷔한 미국 라스베이거스 출신의 ‘더 킬러스’. 그들의 두 번째 음반 [Sam’s town] 8번 트랙 ‘Bones’는 서로의 뼈를 느끼는 연인들의 사랑 이야기다. ‘데본 아오키’가 출연한 뮤직비디오는 전형적인 ‘팀 버튼’ 스타일이지만, 동시에 더 킬러스 특유의 사운드와도 완벽하게 어울린다. 음악과 영화, 두 세계가 서로에게 흡수된 결과물이다.

➋ 이정현 – V

1999년, ‘이정현’은 그 어떤 가수보다 파격적이었다. ‘와’, ‘바꿔’는 당시로선 충격적이던 퍼포먼스와 컨셉으로 테크노 열풍을 넘어, 테크노 광풍을 만들었다. 그런 그녀가 2013년 ‘박찬욱’ 감독과 함께 또 한 번 파격적인 컨셉으로 돌아왔다. 좀비 신부, 으스스한 저택, 광기 어린 사랑. 2011년, 이정현은 박찬욱의 영화 <파란만장>에 출연료 없이 출연했는데, 박찬욱이 이에 보답하여 노 개런티로 ‘V’ 뮤직비디오를 찍었다는 훈훈한 비하인드 스토리.

➌ Michael Jackson – Bad

‘마이클 잭슨’은 뮤직비디오라는 장르를 예술로 끌어올린 최초의 아티스트였다. [Thriller] 이후, 그는 음악과 영상이 하나로 어우러져야 완성된다는 것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다. [Thriller]보다 무려 1년 9개월을 더 투자한 [BAD]는 그 철학이 정점에 달한 앨범이다. 마틴 스콜세이지가 연출을 맡은 ‘BAD’의 뮤직비디오는 무려 18분 분량으로, 마이클 잭슨의 안무와 트랙킹, 줌인을 오가는 스콜세지의 역동적인 연출력이 만나 역사에 길이 남을 작품이 탄생했다.

➍ Beastie Boys – Sabotage

1981년 뉴욕에서 결성된 ‘비스티 보이즈’는 최초의 백인 힙합 밴드였다. 그들은 헤비메탈과 펑크를 활용한 혁신적인 음악을 선보이며 90년대 랩 메탈의 유행을 예언했다. 1994년 발매한 정규 4집 [Ill Communication]은 작품성과 대중성을 모두 갖춘 명반으로, 발매와 동시에 빌보드 1위에 등극했다. 뮤직비디오계의 이단아 ‘스파이크 존즈’가 이들의 뮤직비디오 디렉팅을 맡는 건 운명처럼 자연스러웠다. 70년대 미국 형사물을 패러디한 ‘Sabotage’ 뮤직비디오는 마치 ‘진지한 장난’처럼 보인다.

➎ Björk – Bachelorette

아이슬란드 출신의 ‘비요크’는 원래 얼터너티브 록 밴드 ‘슈가큐브스’의 보컬이었다. 1993년 솔로로 활동을 시작한 비요크는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음악을 시도했고, 독특한 일렉트로닉 팝 사운드로 대중을 매료시켰다. 1997년 발매한 3집 [Homogenic]은 그녀의 새로운 시도가 정점에 달한 앨범이다. 미셸 공드리가 연출한 수록곡 ‘Bachelorette’의 뮤직비디오는 영화보다는 연극에 가깝다. 예측할 수 없는 두 사람의 에너지가 충돌해 반짝이는 순간이다.


영화감독이 뮤직비디오를 연출하는 것은 새로운 일이 아니다. 마이클 잭슨과 마돈나 시대부터 뮤직비디오는 이미 하나의 예술작품이었고, 어떤 때는 영화보다 더 직접적이고 더 순수했다. 3분짜리 영상이 2시간짜리 영화보다 더 오래 남을 수 있다는 걸, 이 뮤직비디오들이 증명한다.


Related Articles